html xhtml 
대소문자 인식  작성자 기호대로작성  대소문자구분, 모든요소와 속성명은 반드시 소문자 
태그   여는태그만 쓰고 닫는 태그는 생략가능, 일부태그만 생략가능  열고 닫음이 명확해야함 
 값 표현 HTML id=js 
속성값에 따옴표 생략가능 
 XHTML id="js"
따옴표 필수 
 빈태그 <br>, <hr>, <img> 형태로 표현  <br />, <hr />, <img /> 


HTML ex
<BODY>
<H1>너랑</H1>
<P>나랑
<P><IMG src=a.jpg>
</BODY>


XHTML ex
<body>
<h1>너랑</h1>
<p>나랑</p>
<p><img src="a.jpg /></p>

</body>
 
dtd란?
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동일한 기준에 의해 해석(parsing)되도록 문서의 타입을 선언하는 역할

dtd정의의 필요성

1.문서의 가독성증가
2.브라우저 별 호환성 증가 (크로스 브라우징)
3.문서 제작의 효율성 증가

dtd종류 
1.HTML 4.01 Transitional (호환모드)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 

2. HTML 4.01 strict (엄격모드)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strict.dtd">  

3.
XHTML 1.0 Transitional (호환모드)
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 

4. 
XHTML 1.0 strict (엄격모드) 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Strict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strict.dtd">  

1. tar를 이용한 파일 압축하기. (백업시)

http://www.hubweb.net/manual_hub/manual_main.htm


압축할 파일이 위치한곳으로 이동후


tar -czvf 생성할파일명.tar.gz ./*

위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면
현재 위치에 압축파일이 생성된다.
압축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밖에서 압축해야 전체압축이 됨


2. tar를 이용한 압축해제 하기. (복원시)

백업 파일이 위치한 곳에서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한다.


tar -xzvf 압축파일명.tar.gz

 


+ Recent posts